울산소방본부, ‘첨단 소방장비’2종 배치 완료

김상현 기자

등록 2021-12-15 13:40

울산석유화학단지 내 대형 유류저장탱크의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이 전국 최초로 구축됐다.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

또한 고층 건축물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70m급 굴절차’도 배치됐다.

 

울산소방본부는 12월 16일 오후 4시 울주군 온산읍 처용리 해안도로일원에서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구축 장비 시연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고가사다리차

앞서 소방본부는 지난 12월 8일부터 실천 배치에 대비해 장비 운영자 교육을 실시했다.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은 총 사업비 176억 원의 정부예산이 투입되어 특수장비 16대로 구성됐다. 대구경(300㎜) 소방호스 2.5㎞를 전개하여 분당 최대 7만 5,000리터(4만 5,000리터 1대, 3만 리터 1대)를 방수할 수 있다. 방사거리는 최대 110m이다.

 

대용량포방사시스템 시연 위치 진압전술 개념도

현존하는 국내 장비로는 직경 34m 이상의 대형 유류저장탱크의 화재진압이 불가능하였으나, 이번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의 도입으로 조기 화재진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용량포 방사시스템’도입은 지난 2018년 10월 경기 고양저유소 원유탱크 화재 당시 128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진압하기까지 17시간 이상 장시간 소요된 것을 계기로 추진되었다.

 

시연 배치도 온산읍 처용리 해안도로

한편 울산의 액체화물 물동량은 2020년 기준 1억 5300만 톤으로 전국 1위(29%)이며, 석유화학 공단지역에서 저장․취급하는 액체위험물은 2354만 2000㎘로 전국 39%에 이른다.

 

‘70m급 굴절차’는 지난해 10월 남구 주상복합 아파트 화재 발생 이후 총 사업비 14억 원(국비 7억 원, 시비 7억 원)을 들여 이번에 중부소방서에 현장 배치됐다.

 

최대 작업 높이 70m, 건물 23층 높이까지 전개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3~5명을 동시에 구조할 수 있어 고층 건물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장비다.

 

위치도 온산읍 처용리 137

울산지역 내 30층 이상 고층건축물은 33개소 141개동이 있다.

 

지난해 남구 주상복합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했지만, 70m급 소방고가차가 울산에 없어 자칫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뻔했다.

 

울산시는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을 위한 특수장비의 도입 필요성을 국회와 기재부에 건의했고 지역 국회의원들도 예산 반영을 위해 적극 지원에 나섰다.

 

울산소방본부 관계자는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이 전국 최초로 울산에 배치되고, 70m급 굴절차 등 첨단 소방장비가 도입됨으로써 시민들이 보다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판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유엔(UN) 방재안전도시에 걸맞는 안전한 울산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상현

김상현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