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 `녹조` 발생 예측 시스템 구축…선제 대응한다

김상현 기자

등록 2022-01-20 12:22

서울시가 서울과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한강 취수원에서 `유해 남조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을 구축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시는 한강 취수원에서 `유해 남조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을 구축 완료했다.

남조류가 과도하게 성장하면 물의 색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녹조현상이 일어나는데 남조류 중 일부는 독성을 갖고 있어 수돗물의 안전성을 해친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녹조 발생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가 구축한 `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은 3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한 수질예측 시스템이다. 지난 8년간 누적해온 서울시 및 국가 수질측정망의 수질 자료와 수문 자료, 기상 자료, 지형자료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조류 세포수 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기상 관측‧예측 자료와 수질자료 등을 수치모형에 입력하면, 서울시 강북·암사·자양·풍납 4개 취수장에서의 유해 남조류 세포수 농도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통해 최대 2주 전에 조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시각화‧수치화된 결과 값으로 도출된다.

 

예측된 결과 값은 서울시 취수장에 신속히 전파해 우수한 원수 확보와 정수처리시설 최적 운영에 활용할 예정이다. 결과에 따라 투입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등 선제적 대응이 가능해져 보다 안전한 최적의 수돗물 공급 기반을 갖추게 된다.

 

시는 현재 구축된 시스템의 예측 정확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녹조 발생 취약시기인 올해 6월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해 10월까지 1주 단위로 조류를 예측할 계획이다.

 

시는 2023년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빅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취수장 원수의 맛·냄새 물질 농도를 예측하는 모델도 개발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취수원수에서 수돗물의 이상한 냄새와 맛을 일으키는 고농도의 2-MIB, 지오스민 물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수처리 선제대응에 활용할 계획이다.

 

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상수원의 녹조발생과 그에 따른 안전한 수질관리는 향후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서울시는 수질예측 시스템 운영을 통해 녹조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안전한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언제나 믿을 수 있는 고품질의 수돗물 아리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상현

김상현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