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지지율, 1%p 오른 32%…30%대 초중반 횡보

김상현 기자

등록 2023-09-22 17:30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지지율)가 소폭 상승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2일 나왔다.

 

지난 19일 윤석열 대통령은 뉴욕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접견했다.

한국갤럽이 2023년 9월 셋째 주(19~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32%가 긍정 평가했고 59%는 부정 평가했으며 그 외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5%).

 

윤 대통령이 현재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자(78%), 70대 이상(63%) 등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93%), 40대(74%) 등에서 많다. 성향별 직무 긍정률은 보수층에서 61%, 중도층 26%, 진보층 10%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이하 `가중적용 사례수` 기준 323명, 자유응답) `외교`(31%), `전반적으로 잘한다`(6%), `국방/안보`(5%), `결단력/추진력/뚝심`, `공정/정의/원칙`, `전 정권 극복`(이상 4%), `경제/민생`, `주관/소신`(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잘하고 있다` 32%, `잘못하고 있다` 59%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592명, 자유응답) `외교`(15%),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경제/민생/물가`(이상 10%), `독단적/일방적`(9%), `전반적으로 잘못한다`(5%), `경험·자질 부족/무능함`, `통합·협치 부족`, `소통 미흡`(이상 4%), `인사(人事)`(3%) 등을 이유로 들었다.

 

역대 대통령들의 취임 2년 차 2분기 직무 수행 긍정률은 제13대 노태우 28%(1989년 4월), 제14대 김영삼 55%(1994년 6월), 제15대 김대중 52%(1999년 6월), 제16대 노무현 34%(2004년 6월), 제17대 이명박 27%(2009년 5월), 제18대 박근혜 50%(2014년 4~6월 평균), 제19대 문재인 60%(2018년 7~9월 평균), 제20대 윤석열 34%(2023년 7~9월 평균)다.

 

지난 1년간 월별 통합 대통령 직무 긍정률 흐름을 보면 작년 6월 평균 49%에서 7월 32%, 8~11월 20%대 후반까지 하락한 바 있다.

 

올해는 1월 36%로 출발해 4월 30%, 5~7월 35%로 재상승해 횡보하다가 9월 32%로 소폭 하락했다. 성·연령별로 보면 작년 6월에는 20·30대 남녀 간 대통령 평가가 상반했으나(남성은 긍정적, 여성은 부정적), 7월 이후로는 남녀 모두 부정 평가 우세로 방향성이 일치한다.

 

정당 지지도: 국민의힘 33%, 더불어민주당 33%, 무당(無黨)층 29%

 

2023년 9월 셋째 주(19~21일) 현재 지지하는 정당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33% 동률, 정의당 4%,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無黨)층 29%다. 성향별로는 보수층의 70%가 국민의힘, 진보층의 60%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에서는 국민의힘 23%, 더불어민주당 33%,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가 38%를 차지했다.

 

조사 기간 마지막 날인 9월 21일 오후 늦게 국회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해임건의안(총투표수 295표: 가 175, 부 116, 기권 4)과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가 149, 부 136, 기권 6, 무효 4)이 가결됐다. 둘 다 우리 헌정 사상 첫 사례로 주목되지만, 이번 조사 결과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3월 초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후 양대 정당 비등한 구도가 지속되어 왔다. 주간 단위로 보면 진폭이 커 보일 수도 있으나, 양당 격차나 추세는 통계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오차범위(최대 6%포인트) 내에서의 변동이다. 3주 전 그 범위를 살짝(1%포인트) 벗어나기도 했지만, 이내 되돌아왔다.

 

지난 1년간 월별 통합 정당 지지도 흐름을 보면 작년 6월 국민의힘 43%, 더불어민주당 29%에서 7월 38%, 33%로 양대 정당 격차가 감소했고 이후 비등하다.

 

20·30대에서는 무당층이 가장 많은 가운데 남성은 국민의힘 지지, 여성은 더불어민주당 지지 쪽으로 방향성을 달리한다. 40대 이상에서는 성별 정당 지지 구도가 엇비슷하다.

 

김상현

김상현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