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평택·판교 잇는 ‘미래차 혁신 생태계’ 구축…부품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전주기 클러스터 강화

김상현 기자

등록 2025-11-13 17:14

경기도는 화성과 평택을 미래차 부품 거점으로, 판교를 소프트웨어 중심지로 육성하는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며 미래차 산업 전환 지원, 친환경차 부품개발, 실증 인프라 확충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품·소프트웨어·실증 인프라를 잇는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를 본격 조성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경기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품·소프트웨어·실증 인프라를 잇는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를 본격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화성과 평택을 미래차 부품 산업 핵심 거점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화성(327개), 시흥(116개), 안산(112개), 평택(104개)에 자동차 사업체가 집적돼 있으며, 특히 남양연구소와 기아 오토랜드가 위치한 화성, KG모빌리티가 있는 평택을 중심으로 미래차 부품 경쟁력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소프트웨어 분야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육성한다. 도는 지난해부터 연면적 6,348㎡ 규모의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SMDH)’를 구축하고 있으며, 2026년 5월 준공 예정이다. 


이 허브에는 스마트모빌리티 스타트업과 연구기관 입주공간, 자율주행 시험대(테스트베드), 전문 인력양성 시설이 조성돼 도·연구기관·기업 간 협업이 촉진되고 차량 소프트웨어 산업 생태계가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경기도는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 프로젝트인 ‘경기도형 미래차 혁신생태계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28개사를 선정해 기술지원·스마트공장 솔루션·정책자금 등 5개 정책을 지원한 데 이어 올해 추가 선정된 3개사를 포함해 총 31개 기업에 94억3천만 원을 투입해 미래차 제조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내연기관 부품기업의 친환경차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한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2024년부터 20개사가 사업화 과제 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417명이 부품개발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최근 대미(對美)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도는 친환경차 부품 수출기업에 해외 규격 인증과 신뢰성 평가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도 병행한다.


경기도는 미래차 생태계 확장을 위해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자율주행 실증단지 및 ‘판타G 버스’ 운영 ▲국토부 UAM 실증사업(고양 킨텍스) 버티포트 조성 ▲평택 수소 생산·교통복합기지 준공 ▲안산·남양주·평택·양주 수소도시 및 용인 미니 수소도시 조성 등 에너지·교통 기반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대한민국 모빌리티 R&D의 71%, 연구 인력의 62%가 경기도에 있다”며 “모빌리티의 중심지인 경기도가 미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현

김상현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