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용보증재단, ‘2025 소상공인 생활백서’ 발간…창업 준비 11.9개월·폐업 고민 증가

이성규 기자

등록 2025-11-26 12:14

서울신용보증재단은 25일 서울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진행한 3개년 패널조사 결과를 담은 ‘2025 서울시 소상공인 생활백서’를 종합편 1권과 자치구편 25권으로 발간했다고 밝혔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은 25일 서울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진행한 3개년 패널조사 결과를 담은 ‘2025 서울시 소상공인 생활백서’를 종합편 1권과 자치구편 25권으로 발간했다고 밝혔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서울 소상공인의 실제 경영 환경을 세밀하게 담아낸 ‘2025 서울시 소상공인 생활백서’를 발간했다. 이번 백서는 최근 3년간의 패널조사를 바탕으로 창업과 폐업, 건강관리 등 소상공인의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다양한 인포그래픽으로 내용을 시각화한 것이 특징이다. 재단은 이번 자료가 향후 소상공인 맞춤형 정책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백서는 종합편과 자치구편으로 구성됐으며, 종합편은 창업 준비, 폐업 원인, 건강관리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분석을 정리했다. 먼저 창업 준비 단계에서는 서울 소상공인의 평균 준비 기간이 11.9개월, 초기 투자금이 약 9,895만원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76.0%가 준비 과정을 거쳐 창업했으며, 준비 없이 창업한 경우보다 평균 영업이익이 355만원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준비도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폐업 실태에서는 경기침체(29.7%)와 매출부진(23.4%)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폐업을 고려한 소상공인의 비율은 2022년 14.4%에서 2024년 20.2%로 증가해 어려운 경영환경이 누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 직전 영업실적 역시 감소하거나 회복하지 못한 사례가 많아 외부 경제환경 변화에 취약한 소상공인의 구조적 어려움이 드러났다. 재단은 이를 바탕으로 영업이익 회복을 위한 정책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소상공인의 근로환경과 건강 상태도 백서에 담겼다. ‘나홀로 사장님’ 비율은 2022년 40.7%에서 2024년 43.6%로 증가한 가운데 약 30%가 휴일 없이 영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검진 수검률은 직장가입자 79.9%보다 5.7%p 낮은 74.2%에 불과했고, 검진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 부족’이 62.6%로 가장 높았다. 반면 만성질환 경험률은 전년 대비 2.3%p, 우울증 경험률은 1.0%p 증가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 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자치구편은 25개 자치구별 현황과 특성을 정리해 지역별 맞춤형 정책 개발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자치구별로 정책 Tip, 일반현황, 소상공인 실태, 인식 조사 결과를 담았으며, 각 지역의 경영환경과 비교 지표를 통해 자치구별 특화 방향을 제시했다. 예컨대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은 강남구는 임대료와 운영비 부담이 주요 애로로 나타났고, 상생 협약 기반의 임대료 지원이나 지역 기금을 활용한 융자지원 등이 정책 방향으로 제시됐다.


서울신용보증재단 최항도 이사장은 “25개 자치구의 여건을 고려해 맞춤 제작한 생활백서는 소상공인 종합지원기관으로 나아가는 재단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서울시와 자치구가 현장 수요를 반영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성규

이성규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